Program Details

  • ROOM 1~3

    3월 15일(토)
    11:20-12:10

    Plenary Lecture

    • 오거나이저 : 이관우 (아주의대)

    • 금번 Plenary Lecture에서 이관우 교수는 지속 연구로 진행해오고 있는 비만, 인슐린 저항성의 발병 원인 규명, 항비만 물질 및 인슐린 저항성 억제제 관련된 연구를 주제로 강연할 예정입니다. 임상 연구로는 비만 환자의 효과적인 비만 치료에 대한 다기관 임상 연구 중심으로, 기초 연구로는 근육세포 및 혈관 세포에서 지방 독성 기작을 분자 세포생물학적으로 밝히고 병증을 억제하는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실제로 성공적인 항비만 물질, 인슐린 저항성 억제제, 그리고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된 근감소증에 대하여 시행해온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강의할 예정입니다.
    11:20-12:10
  • ROOM 1

    3월 15일(토)
    13:40-14:20

    Keynote Lecture 1

    • 오거나이저 : 김경곤 (가천의대)

    • 최근 비만 치료는 비록 여러 가지 장 호르몬에 기반을 둔 펩타이드들에 대다수 사람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지만, 오래전부터 비만 치료에 세로토닌은 중추적인 역할을 해 왔고 세로토닌을 기반으로 한 약제들이 비만 치료에 사용되었던 적도 있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체내에서 세로토닌의 다양한 역할을 에너지 대사 측면에서 살펴보고 세로토닌의 대사질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3:40-14:10

    이가영

    (인제의대 가정의학과)
    14:10-14:20 Q&A
  • 14:20-15:00

    Keynote Lecture 2

    • 오거나이저 : 김은미 (감북삼성병원)

    • 성공적인 비만치료를 위해서는 다양한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며, 영양치료는 비만치료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영양치료와 관련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고, 이와 관련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비만치료의 성공률이 높지 않은 현실에서, 성공적인 영양치료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4:20-14:50
    14:50-15:00 Q&A
  • ROOM 2

    3월 15일(토)
    15:30-16:10

    Keynote Lecture 3

    • 오거나이저 : 김경곤 (가천의대)

    • 최근 비만 치료는 비록 여러 가지 장 호르몬에 기반을 둔 펩타이드들에 대다수 사람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지만, 오래전부터 비만 치료에 세로토닌은 중추적인 역할을 해 왔고 세로토닌을 기반으로 한 약제들이 비만 치료에 사용되었던 적도 있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체내에서 세로토닌의 다양한 역할을 에너지 대사 측면에서 살펴보고 세로토닌의 대사질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5:30-16:00
    16:00-16:10 Q&A
  • 16:10-16:50

    Keynote Lecture 4

    • 오거나이저 : 김은미 (감북삼성병원)

    • 성공적인 비만치료를 위해서는 다양한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며, 영양치료는 비만치료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영양치료와 관련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고, 이와 관련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비만치료의 성공률이 높지 않은 현실에서, 성공적인 영양치료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6:10-16:40
    16:40-16:50 Q&A
  • ROOM 1~3

    3월 15일(토)
    13:10-13:40

    문석학술상

    Organizer : TBD (TBD)

    • (Plenary Lecture Detail)
    • (Plenary Lecture Detail)
    • (Plenary Lecture Detail)
    13:10-13:40

    정소정

    (건국의대 소아청소년과)
  • ROOM 1

    3월 15일(토)
    15:00-15:30

    젊은연구자상

    Organizer : TBD (TBD)

    • (Plenary Lecture Detail)
    • (Plenary Lecture Detail)
    • (Plenary Lecture Detail)
    15:00-15:30

    조윤경

    (울산의대 내분비내과)
  • ROOM 3

    3월 14일(금)
    15:00-16:30

    Committee Session 1 : 비만 진단 기준에 대한 논의(진료지침)

    Organizer : TBD (TBD)

    • (Plenary Lecture Detail)
    • (Plenary Lecture Detail)
    • (Plenary Lecture Detail)
    15:00-15:25
    15:25-15:50
    15:50-16:15
    16:15-16:30 Panel Discussion
  • 16:40-18:10

    Committee Session 2

    Organizer : TBD (TBD)

    • (Plenary Lecture Detail)
    • (Plenary Lecture Detail)
    • (Plenary Lecture Detail)
    16:40-17:05

    이정무

    (서울의대 간담췌외과)
    17:05-17:30

    전기현

    (서울의대 순환기내과)
    17:30-17:55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의 연구 · 출판윤리

    윤철희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17:55-18:10 Panel Discussion 구보경(서울의대 내분비대사내과)
    남가은(고려의대 가정의학과)
    정창희(울산의대 내분비내과)
    한유진(계명의대 내분비대사내과)
  • ROOM 1

    3월 14일(금)
    15:00-16:30

    Symposium 1

    Obesity and Gender Differences

    • 오거나이저 : 문준성 (영남의대), 박경희 (한림의대)

    • 비만 치료제의 발전은 현재 진행형입니다. 이 세션에서는 새로운 비만 치료제들의 명암을 살펴보고, 이미 사용 중인 약제의 조합을 통한 비만치료의 다양한 전략을 살펴볼 예정입니다. 가톨릭의대 손장원 교수는 현재 임상 중이거나 임상 예정인 새로운 인크레틴 기반 약제들을 소개하고, 조선의대 김진화 교수는 항비만약제의 치료를 언제까지 지속해야 할지에 대한 궁금증을 명쾌하게 해결해 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을지의대 홍준화 교수는 SGLT2 억제제와 Phetermine-topiramate 의 조합이 비만치료에 얼마나 효과적일지에 대한 데이터를 제시할 예정입니다.
    15:00-15:25

    김나영

    (서울의대 소화기내과)
    15:25-15:50

    임현정

    (경희대 의학영양학과)
    15:50-16:15 Gender Considering in Dietary Assessment

    강민지

    (덕성여대 식품영양학과)
    16:15-16:30 Panel Discussion
  • 16:40-18:10

    Symposium 3

    Management of Obesity Related Complications

    • 오거나이저 : 배재현 (고려의대), 조윤정 (대구가톨릭의대)

    • 비만은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고 진행하는 복잡한 질환입니다. 본 세션에서는 환경, 유전, 그리고 비만 간의 관계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합니다. 먼저 고려의대의 이다영 교수는 하루 주기와 수면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할 것입니다. 국립암센터의 김현진 박사는 환경오염과 대사 질환의 관련성에 대해 고찰할 예정이며, 마지막으로 KAIST의 손종우 교수는 항정신병약물이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치료 전략에 대해 발표할 것입니다.
    16:40-17:05

    이우진

    (서울의대 신경과)
    17:05-17:30

    홍준화

    (을지의대 내분비내과)
    17:30-17:55

    류영상

    (조선의대 내분비대사내과)
    17:55-18:10 Panel Discussion
  • ROOM 2

    3월 14일(금)
    15:00-16:30

    Symposium 2

    Innovative Techniques in Obesity Research (1)

    • 오거나이저: 이승환 (가톨릭의대), 남가은 (고려의대)

    • 비만은 중대한 만성질환을 동반하고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그동안 다양한 비만치료제가 사용되어 왔으나 효과나 부작용 측면에서 unmet need가 있고, 여전히 비만 유병률은 증가 추세로 현재 전 세계 성인의 절반이 비만에 해당됩니다. 이에 최근 개발된 더욱 강력한 비만치료제들은 최고의 혁신기술 및 과학 성과로 선정될 정도로 화두입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Semaglutide 및 GIP/GLP1 receptor co-agonist 주사제와 경구 GLP1 receptor agonist의 기전과 효능 및 안전성에 대한 최신지견을 제공할 것입니다.
    15:00-15:35

    김일영

    (가천의대 분자의학)
    15:35-16:10

    선웅

    (고려대 해부학과)
    16:10-16:30 Panel Discussion
  • 16:40-18:10

    Symposium 4

    Innovative Techniques in Obesity Research (2)

    • 오거나이저: 윤지완 (서울의대), 오범조 (서울의대)

    • 심포지엄 10은 여성 비만과 소아비만에 초점을 맞춘 강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강의에서는 여성 비만이 불임에 미치는 영향과 그 원인에 대해 다루며, 미국생식의학회와 세계 보건기구의 통계를 바탕으로 여성 불임의 사회적 중요성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두 번째 강의에서는 PCOS와 비만 간의 관계에 대한 최근 연구 결과를 살펴보며, 비만이 PCOS의 원인과 증상을 악화시키는 메커니즘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세 번째 강의는 소아비만이 성장과 사춘기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실용적인 지식을 제공할 것입니다.
    16:40-17:15

    정인경

    (KAIST 생명과학과)
    17:15-17:50 Live Imaging of Neuroglia-like Interaction in the Taste Bud

    최명환

    (서울대 생명과학부)
    17:50-18:10 Panel Discussion
  • ROOM 1

    3월 15일(토)
    09:40-11:10

    Symposium 5

    Recent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Obesity

    • 오거나이저 : 권오빈 (서울의대)

    • 과학과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기존 비만 치료제의 작용 메커니즘 범위를 넘어 새로운 메커니즘을 타깃으로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최근 새로운 분자 메커니즘을 타깃으로 비만 극복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기초연구들을 소개하고, 향후 비만 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합니다.
    09:40-10:05

    오태정

    (서울의대 내분비대사내과)
    10:05-10:30 Navigating Side Effects and Abuse in Anti-Obesity Medications

    김미경

    (계명의대 내분비대사내과)
    10:30-10:55

    문준성

    (영남의대 내분비대사내과)
    10:55-11:10 Panel Discussion
  • 15:30-17:00

    Symposium 10

    Deep-Digging into Obesity Assessment Tools

    • 오거나이저 : 김기우 (연세치대)

    • 비만 관련 신호전달 체계의 이해는 비만조절에 필수적인 하나의 영역입니다. 본 세션에서는 부경대 이봉기 교수님의 아스코빅산과 에너지 대사조절, 서강대 허진영 교수님과 한양대 김주연 교수님의 MAFLD 및 MASH의 분자조절경로에 초점을 맞춘 강의를 통해 비만 관련 신호전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또한, 세션을 통해 비만 관련 신호전달 체계 및 비만조절의 새로운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15:30-15:55

    최윤정

    (인바디 임상연구파트)
    15:55-16:20

    오범조

    (서울의대 가정의학과)
    16:20-16:45

    권유진

    (연세의대 가정의학과)
    16:45-17:00 Panel Discussion
  • ROOM 2

    3월 15일(토)
    09:40-11:10

    Symposium 6

    Gut Brain Axis

    Organizer: 한상문

    • (Symposium 8 Detail)
    • (Symposium 8 Detail)
    09:40-10:05

    송종우

    (KAIST 생명과학과)
    10:05-10:30 First Brain Neurons to Detect Cold and Regulate Homeostasis

    김성연

    (서울대 화학부)
    10:30-10:55

    서성배

    (KAIST 생명과학과)
    10:55-11:10 Panel Discussion
  • 13:40-15:10

    Symposium 8

    Healthy Plant-Based Diet (PBD) and Obesity

    • 오거나이저: 이상열 (경희의대), 한경도 (숭실대)

    • 이 심포지엄은 'Big Data in Obesity Research'라는 테마 아래, 비만에 대한 빅데이터 연구자들을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이 세션은 비만이라는 복합적인 문제를 다각도에서 분석하고, 최신 빅데이터 기술을 통해 새로운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첫 번째 연사인 김선영 교수님(경희의대)은 '비만과 노인 근감소증에 대한 빅데이터 기반 연구'를 주제로, 노인 인구에서 비만과 근감소증 사이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이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점점 중요해지는 건강 문제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도울 것입니다.
    • 두 번째 연사인 정수민 교수님(서울의대)은 'Obesity Fact Sheet 2023'을 통해 최근 비만 관련 통계와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정책 제안 및 예방 전략에 대해 논의합니다. 이 세션은 비만 문제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접근과 해결책 모색에 중점을 둡니다.
    • 마지막으로 정진형 박사님(성균관의대)은 'Obesity research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를 소개하며, 보건의료빅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 비만 연구 인사이트에 대해 설명할 예정입니다. 이 세션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 및 마이데이터를 고려한 기관별 연계자료를 통하여 비만 연구 방법론을 설명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비만 관리 전략을 제시합니다.
    • 이 심포지엄은 비만 연구의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연구자들의 귀중한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비만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촉진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다학제적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비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전략을 모색하는 이번 세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13:40-14:05

    송수진

    (한남대 식품영양학과)
    14:05-14:30

    이유진

    (명지대 식품영양학과)
    14:30-14:55

    신아름

    (서울대 영양팀)
    14:55-15:10 Panel Discussion
  • ROOM 3

    3월 15일(토)
    09:40-11:10

    Symposium 7

    Health Promotion for People Living with Obesity

    • 오거나이저 : 임현정 (경희대), 김오연 (동아대), 송수진 (한남대)

    • 본 세션은 건강과의 관련성으로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초가공식품-감미료, 방부제, 색소 등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하고 가공과 변형이 많이 된 식품’을 주제로 합니다. 첫 번째 연자인 정수경 교수(충남대병원)는 초가공식품의 정의 및 한국인의 섭취량을 설명하고, 두번째 연자인 심지선 교수(연세의대)는 초가공식품 섭취와 비만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강의할 예정입니다. 마지막 연자인 이상아 교수(강원대)는 초가공식품 섭취와 암 관련 호르몬 대사에 대한 연구결과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09:40-10:05

    김양현

    (고려의대 가정의학과)
    10:05-10:30

    안유석

    (서울의대 정신건강의학과)
    10:30-10:55

    최승임

    (동국의대 감염내과)
    10:55-11:10 Panel Discussion
  • 13:40-15:10

    Symposium 9

    • 오거나이저 : 임현정 (경희대), 김오연 (동아대), 송수진 (한남대)

    • 본 세션에서는 체중 감량을 위한 식사 방법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간헐적 단식 또는 시간제한식사를 주제로 하여 그 개념 및 기전, 대사에 미치는 영향, 활용 방안 등을 다루고자 합니다. 첫번째 연자인 권오빈 교수(서울의대)는 간헐적 단식과 비만의 신경학적 기전에 대해 강연할 예정입니다. 두번째 연자인 송윤주 교수(가톨릭대)는 시간제한식사와 대사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마지막 연자인 이연희 임상영양사(아주대병원)는 시간제한식사의 바람직한 적용 방안에 대해 강연할 예정입니다.
    13:40-14:05
    14:05-14:30
    14:30-14:55
    14:55-15:10 Panel Discussion
  • 15:30-17:00

    Symposium 11

    Advancing Strategies and Tools for Precise Assessment of Pediatric Obesity

    • 오거나이저: 김재현 (서울의대), 홍용희 (순천향의대)

    • 소아청소년 비만은 성인보다 외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아이들이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요인들이 많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먼저 우리도 모르는 사이 노출되고 있는 내분비계교란물질과 소아청소년 비만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두번째 강의에서는 질병관리청에서 바라보는 소아청소년 비만과 나아가야 할 방향, 만성질환 정책을 소개합니다. 마지막 강의에서는 소아청소년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의 비만 유발 환경에 대해서, 그리고 교육부 정책이 아이들의 건강한 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15:30-15:55

    김화영

    (서울의대 소아청소년과)
    15:55-16:20 Tracking Height, Weight, and Body Composition Chang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BIA(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 Longitudinal Study on Growth and Obesity

    김서정

    (연세의대 소아청소년과)
    16:20-16:45

    심영석

    (울산의대 소아청소년과)
    16:45-17:00 Panel Discussion
  • ROOM 1

    3월 14일(금)
    18:30-19:30

    Satellite Symposium 1

    Organizer: TBD (TBD), TBD (TBD)

    • (Satellite Symposium 1 Detail)
    • (Satellite Symposium 1 Detail)
    18:30-19:00
    19:00-19:30
  • ROOM 3

    3월 14일(금)
    18:30-19:30

    Satellite Symposium 2

    Organizer: TBD (TBD), TBD (TBD)

    • (Satellite Symposium 1 Detail)
    • (Satellite Symposium 1 Detail)
    18:30-19:00
    19:00-19:30
  • ROOM 1

    3월 15일(토)
    07:30-08:30

    Breakfast Symposium 1

    Organizer : TBD (TBD)

    • (Breakfast Symposium 1 Detail)
    • (Breakfast Symposium 1 Detail)
    • (Breakfast Symposium 1 Detail)
    07:30-08:30
  • ROOM 2

    3월 15일(토)
    07:30-08:30

    Breakfast Symposium 2

    Organizer : TBD (TBD)

    • (Breakfast Symposium 2 Detail)
    • (Breakfast Symposium 2 Detail)
    • (Breakfast Symposium 2 Detail)
    07:30-08:30
  • ROOM 3

    3월 15일(토)
    07:30-08:30

    Breakfast Symposium 3

    Organizer : TBD (TBD)

    • (Breakfast Symposium 3 Detail)
    • (Breakfast Symposium 3 Detail)
    • (Breakfast Symposium 3 Detail)
    07:30-08:30
  • ROOM 1

    3월 15일(토)
    12:10-13:10

    Luncheon Lecture 1

    Organizer : TBD (TBD)

    • (Luncheon Symposium 1 Detail)
    • (Luncheon Symposium 1 Detail)
    • (Luncheon Symposium 1 Detail)
    12:10-13:10
  • ROOM 2

    3월 15일(토)
    12:10-13:10

    Luncheon Lecture 2

    Organizer : TBD (TBD)

    • (Luncheon Symposium 2 Detail)
    • (Luncheon Symposium 2 Detail)
    • (Luncheon Symposium 2 Detail)
    12:10-13:10
  • ROOM 3

    3월 15일(토)
    12:10-13:10

    Luncheon Lecture 3

    Organizer : TBD (TBD)

    • (Luncheon Symposium 2 Detail)
    • (Luncheon Symposium 2 Detail)
    • (Luncheon Symposium 2 Detail)
    12:10-13:10
  • ROOM 1

    3월 15일(토)
    08:30-09:30

    Oral Presentation 1

    Organizer: TBD (TBD), TBD (TBD)

    • (Oral Presentation 1 Detail)
    • (Oral Presentation 1 Detail)
    08:30-08:40
    08:40-08:50
    08:50-09:00
    09:00-09:10
    09:10-09:20
    09:20-09:30
    심사자
  • ROOM 2

    3월 15일(토)
    08:30-09:30

    Oral Presentation 2

    Organizer: TBD (TBD), TBD (TBD)

    • (Oral Presentation 1 Detail)
    • (Oral Presentation 1 Detail)
    08:30-08:40
    08:40-08:50
    08:50-09:00
    09:00-09:10
    09:10-09:20
    09:20-09:30
    심사자
  • ROOM 3

    3월 15일(토)
    08:30-09:30

    Oral Presentation 3

    Organizer: TBD (TBD), TBD (TBD)

    • (Oral Presentation 1 Detail)
    • (Oral Presentation 1 Detail)
    08:30-08:40
    08:40-08:50
    08:50-09:00
    09:00-09:10
    09:10-09:20
    09:20-09:30
    심사자